본문 바로가기
공부생활

고려시대왕 순서 태혜정광경성목

by ▩♨○ 2023. 4. 9.
728x90
반응형

한국사 공부하면서 조선시대 왕 순서 외우기 많이 해보셨나요? 고려시대 왕 순서도 시험문제 맞히기 위해서 많이 외우곤 했었는데요 오늘 그 순서에 대해 한 번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우리나라 고려시대는 KOREA의 기원이 된 시대로 918년부터 1392년까지 그 역사가 기록되어있습니다. 당시 재위 했던 왕은 총 34명으로 몽골의 침략 당시 왕을 했던 경우에는 몽골에 충성한다는 의미가 내포된 충 자를 이름에 포함되어 있습니다.

 

* 왕 이름 순서: 

태혜정광경성목현덕정문순선헌숙예인의명신희강고원충(렬선숙혜목정)민우창공


저는 주로 태혜정광경성목 - 현덕정문순선헌 - 숙예인의명신희 - 강고원 - 충(렬선숙 - 혜목정)민 - 우창공 으로 띄어 외우고 있습니다.
노랫말을 붙여 외우기도 하는데요 왕의 순서만 외우고 있어도 한국사 시험문제 풀때 도움이 되는 거 다들 알고 계시죠? 그리고 상식도 있어 보이고요!


* 고려시대 왕

태조 1대
918-943 태조 왕건으로 우리에게 제일 유명한 고려시대 왕중 한 명이다. 혼인을 통해 여러 호족세력을 포섭하고 후삼국시대를 통일하여 고려를 세운 초대 왕이다. (흑청설치, 훈요10조, 역분전 지급)

혜종 2대
943-945 태조의 맏아들로 왕위 다툼 시달렸고 왕규의 난이 발생했다.

정종 3대
945-949 태조의 아들로 서경 천도 수도이동을 실패했지만, 승려의 면학을 위한 장학재단인 광학보를 설치했다. 또한 거란의 침입에 대비하기 위해서 광군을 조직하고 광군사를 설치했다.

광종 4대
949-975 태조의 아들이며, 노비 안검법 제정 및 주현 공부법을 실시하였고 백관의 공복제정(자단비녹)과 과거제를 실시한 왕이다. 황제를 칭하고 연호로 광덕, 준풍을 사용하였다.

경종 5대
975-981 광종의 맏아들로 시정 전시과 제정과 훈전을 지급했다.

성종 6대
981-997 유교를 정치이념으로 채택하여 6두품 출신의 유학자들이 국정을 주도했으며 최승로의 시무 28조가 유명하다. 2성 6부를 설치했으며 지방에는 12목을 두어 관리했으며 국자감정비 및 향학을 설치하고 건원중보를 발행하였다.

목종 7대
997-1009 경종의 맏아들로 개경 전시과를 개정하였다.

현종 8대
1009-1031 초조대장경을 제작하였고, 7대 실록을 편찬했다.

덕종 9대
1031-1034 현종의 맏아들로 국자감시를 실시하였다.

정종 10대
1034-1046 현종의 아들로 천리장성을 완성하였다.

 

문종 11대

1046-1083 경정전시과를 실시하였고, 한양을 남경으로 승격시켰다. 흥황사 건립과 동서 대비원을 정비하였으며, 최충의 문헌공도가 설립된다.

 

순종 12대
1083-1083 문종의 맏아들로 3개월만에 사망한다.

 

선종 13대
1083-1094 문종의 아들로 송나라 제도를 받아드린다.

헌종 14대
1095-1095 선종의 맏아들로 1년만에 물려준다.

숙종 15대
1095-1105 문종의 아들로 윤관의 별무반이 편성되고 서적포 설치 및 기사 사당이 건립된다. 주전도감이 설치되고 화폐를 주조한다.

예종 16대
1105-1122 양현고를 설립하며 여진 정벌을 위해 동북 9성을 축조한다. 청연각 및 부문각을 설치한다.

인종 17대
1122-1146 이자겸의난과 묘청의 난이 발생했으며 김부식의 삼국사기가 편찬된다.

의종 18대
1146-1170 무신정변으로 폐위가 된다.

명종 19대
1170-1197 무신시대로 최충헌에 의해 폐위된다.

 

신종 20대
1197-1204 만적의 난 등 민란이 일어난다.

희종 21대
1204-1211 무신시대 최고 권력자 최충헌을 죽이지 못하고 폐위된다.

강종 22대
1211-1213 최충헌에 의해 왕위에 오른다.

 

고종 23대
1213-1259 몽골의 침입으로 강화 천도를 하게 된다.

원종 24대
1259-1274 무신시대 새로운 권력자 임연에게 폐위된다.

충렬왕 25대
1274-1308 원종의 맏아로 원나라의(몽골) 사위로 이름에 처음 충자가 붙게 된다. 전민변정도감이 설치 도고 안향의 성리학이 전래된다.

충선왕 26대
1298-1313 어머니는 원나라의 공주 제국대장공주이다. 왕비 또한 원나라의 공주 계국대장공주이며 사림원이 설치도고 소금전매제가 실시되는 시기이다.

충숙왕 27대
1313-1339 충선왕의 아들이며 사심관 제도가 폐지되고 정권다툼에 시달린다.

충혜왕 28대
1339-1344 충숙왕의 아들이지만 원나라에 의해 폐위된다.

충목왕 29대
1344-1348 정치도감이 설치되고 경천사지10층 석탑이 건립된다.

충정왕 30대
1349-1351 충혜왕의 서자 3년만에 폐위된다.

공민왕 31대
1351-1374 몽골풍의 폐지하고 정방을 폐지한다. 전민변정도감을 설치하고 홍건적의 침입이 있어 안동으로 피신한다. 순수 유학교육을 강화하고 성균관을 정비하며 자제위에 의해 시해된다.

우왕 32대
1374-1388 홍산대첩,진포대첩,황산대첩,관음포대첩 등이 발생했다.

창왕 33대
1388-1389 우왕의 아들 이성계에 의해 폐위되었으며 박위가 쓰시마 정벌을 나섰다.

공양왕 34대
1389-1392 신종의 7대손으로 고려의 마지막 왕이다. 

반응형

댓글